T = int(input())
for tc in range(1,1+T):
n = int(input())
board = [list(map(int,input().split())) for _ in range(n)]
# 2차원 리스트 사용 X
# 90도(3의 배수) 180도(3의 배수+1) 270도(3의 배수+2) 위치가 고정되기 때문
res = [0]*(n*3)
# 90도
for q in range(n):
temp = ''
for w in range(n):
temp += str(board[-1-w][q])
res[q*3] = temp
# 180도
for qq in range(n):
temp1 = ''
for ww in range(n):
temp1 += str(board[-1-qq][-1-ww])
res[qq*3+1] = temp1
# 270도
for qqq in range(n):
temp2 = ''
for www in range(n):
temp2 += str(board[www][-1-qqq])
res[qqq*3+2] = temp2
print('#{}'.format(tc))
for x in range(n*3):
if x%3 == 2: # 마지막에는 값을 출력한 후, 줄 변경해줘야 함
print(res[x], end = '')
print()
else:
print(res[x], end = ' ')
그 외
90도, 180도, 270도가 어떻게 회전하는지를 파악하는 것이 가장 어려웠던 문제
문제를 해결하면서 이 방법보다 더 개념적으로 접근하는 방법이 존재할 거라는 생각이 들었음
ps. 개인적인 코드와 코드를 작성의 이유를 적은 것입니다.
오류나 적절치 않은 문법이 존재할 수 있으며, 다른 분들께는 굉장히 비효율적인 방법으로 여겨질 수 있습니다.
혹시 개선 사항, 오류 및 문제에 대한 수정 사항 등을 댓글로 남겨주신다면 감사한 마음으로 배우고 수정하겠습니다
'코딩 문제해결 > 문제 풀이.SWEA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SWEA 코딩] 문자열의 거울상 - PYTHON #10804 (0) | 2021.01.06 |
---|---|
[SWEA 코딩] 외로운 문자 - PYTHON #10912 (0) | 2021.01.06 |
[SWEA 코딩] 달팽이 숫자 - PYTHON #1954 (0) | 2021.01.05 |
[SWEA 코딩] 파스칼의 삼각형 - PYTHON #2005 (0) | 2021.01.04 |
[SWEA 코딩] [모의 SW 역량테스트] 등산로 조성 - PYTHON #1949 (0) | 2020.12.22 |